자유게시판
'마이산'의 일월오봉도 (글마루 4월호)
이찬우(dlehddnok) | 2012-04-05 | 9775 HIT

일월오봉도는 조선이 유교적 이상 국가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역성혁명이 하늘의 뜻이며 왕이 위로는

하늘을 섬기고 아래로는 백성을 보살피는 성군의 정표이자 고려 왕조와 확연히 구분되는 새로운 왕권의 상징물을 고안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일월오봉도가 병풍형식으로 어좌 뒤에 배치된 것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왕을 수호하는 무사 역할을 하고 있으며, 옥새와 마찬가지로 왕권을 상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땅에서 가장 높으면서 하늘과 가장 가까운 곳이 바로 산이기 때문에 곧 산은 하늘과 땅이 만나는 지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군주의 덕을 칭송하는 시경의 천보(天保)에서 일월오봉도에 등장하는 해와 달, 산, 물, 소나무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시를 빌려 볼 때 회화는 왕을 해, 달, 산, 물, 소나무에 비유해 변함없고 영원무궁토록 번창하기를 기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고품격 문화 월간지 『글마루』 4월호를 통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고품격 문화 월간지 『글마루』는 전국 서점에 있습니다.

*본 게시물의 저작권은 이찬우님에게 있으며,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이 글의 전부 또는 일부를 퍼가실 수 없습니다.
*글의 내용을 인용하실 경우에는 반드시 출처와 저작권자를 명시하셔야만 합니다.
목록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